결혼 준비,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보다 더 큰 고민은 바로 ‘신혼집’이죠.
매달 나가는 월세는 부담스럽고, 전셋집을 구하자니 수억 원에 달하는 보증금이 막막하게만 느껴집니다.
정부는 바로 이런 신혼부부들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줄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입니다.
이 제도를 똑똑하게 활용하여 행복한 첫 출발을 하는 방법을,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란? 💑
이름 그대로, **정부가 신혼부부의 전세보증금을 아주 낮은 금리로 빌려주는** 주택도시기금의 대출 상품입니다.
시중 은행의 일반 전세대출 금리가 보통 연 4~5%대인 것에 비해, 버팀목 대출은 **연 1~2%대의 초저금리**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매달 나가는 이자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신혼부부에게는 가장 큰 힘이 되어주는 제도 중 하나입니다.
우리도 받을 수 있을까? 대출 신청 자격 조건 📝
신혼부부를 위한 혜택인 만큼, 몇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1. 신혼부부 기준
혼인신고일로부터 **7년 이내**의 부부, 또는 3개월 이내 결혼 예정인 **예비부부**여야 합니다.
2. 소득 및 자산 기준
부부 합산 연 소득이 **7,5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부부 합산 순자산 가액은 **3.45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2025년 기준)
3. 주택 기준
세대주를 포함한 모든 세대원이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얻으려는 집의 전세보증금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은 4억 원, 그 외 지역은 3억 원 이하**여야 합니다.
또한, 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이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한도와 금리 알아보기 💰
1. 대출 한도
대출 한도는 지역별로 다릅니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최대 3억 원, 그 외 지역은 최대 2억 원**까지 가능합니다.
이는 전세보증금의 80% 이내에서 적용됩니다.
2. 대출 금리
대출 금리는 부부 합산 소득과 전세보증금 액수에 따라 **최저 연 1.5% ~ 최고 연 2.7%** 사이에서 결정됩니다.
자녀 수(1자녀당 0.3%p ~ 0.7%p), 부동산 전자계약(0.1%p) 등 조건에 따라 금리를 더 낮출 수 있습니다. 모든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여 최저 금리 혜택을 받으세요.
대출 신청은 반드시 **임대차계약서(전세 계약서)를 작성한 후**에 가능합니다. 마음에 드는 집을 찾고 계약금을 지불한 뒤, 잔금 지급일 최소 한 달 전에는 은행에 방문하여 대출을 신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 및 다른 제도 알아보기
오늘 설명해 드린 내용은 가장 핵심적인 부분입니다. 더 상세한 내용이나 변경 사항은 주택도시기금 공식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바로가기 ❯만약 전세를 넘어 생애 최초로 내 집을 ‘구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신다면,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 대출’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두 제도를 비교해보고 본인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세요.
청년 주택드림 디딤돌 대출 알아보기 ❯신혼부부 버팀목 대출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신혼부부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는 부부들에게 가장 큰 힘이 되어주는 제도입니다.
꼼꼼히 준비하셔서 이자 걱정 덜고, 행복한 신혼 생활을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