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편에서는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한 분산투자와 DCA 전략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전략을 세워도 사기꾼의 덫에 걸리면 모든 것이 한순간에 물거품이 됩니다.
코인 시장에는 초보 투자자들의 “대박 심리”를 자극하는 달콤한 유혹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오늘은 당신의 소중한 자산을 노리는 대표적인 “암호화폐 투자” 사기 유형과, 반드시 피해야 할 위험한 투자 습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100배 수익 보장!” 대표적인 암호화폐 투자 사기 유형 🚨
아래의 제안을 받는다면, 100% 사기라고 생각하고 즉시 무시해야 합니다.
1. 리딩방 / 픽방 사기
텔레그램이나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 “코인 전문가” 행세를 하며 특정 코인을 추천(“픽”)해주는 방식입니다.
높은 가입비를 요구하거나, 자신들이 미리 사둔 코인을 추천해 가격을 올린 뒤, 순진한 투자자들에게 팔아넘기고 이익을 챙기는 “펌핑 앤 덤핑” 수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2. 가짜 거래소 / 지갑 앱 사기
실제 거래소나 지갑 앱과 똑같이 생긴 가짜 앱이나 피싱 사이트를 만들어 접근을 유도합니다.
여기에 아이디와 비밀번호, 혹은 개인키(니모닉)를 입력하는 순간 모든 자산을 도난당하게 됩니다.
3. ‘러그 풀 (Rug Pull)’ 사기
“양탄자를 확 잡아당긴다”는 뜻으로, 신생 코인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투자금을 모은 뒤 갑자기 프로젝트를 중단하고 자금을 가지고 사라지는 “먹튀” 사기입니다.
그럴듯한 백서와 로드맵으로 투자자를 현혹하며, 특히 실체가 없는 밈코인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스스로를 파괴하는 위험한 암호화폐 투자 습관 🧠
사기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리는 잘못된 투자 습관도 경계해야 합니다.
1. 몰빵 투자
“대박”을 노리고 자신의 전 재산을 하나의, 특히 변동성이 큰 알트코인에 투자하는 행위입니다.
이는 투자가 아닌 도박이며, 쪽박의 지름길입니다.
위험을 줄이는 가장 기본은 “분산투자”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6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빚투 (빚내서 투자)
대출을 받아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것은 가장 위험한 행동 중 하나입니다.
암호화폐 시장의 극심한 변동성은, 대출 원금은 물론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FOMO 추격 매수
FOMO(Fear Of Missing Out)는 “나만 돈 버는 흐름에 소외될지 모른다”는 공포를 의미합니다.
이 감정에 휩쓸려, 이미 급등한 코인의 꼭대기에서 “추격 매수”하는 것은 대부분 큰 손실로 끝납니다.
안전한 거래소에서 신중하게 시작하기
모든 투자의 시작은 정부의 인가를 받은 안전한 거래소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코인원과 같은 주요 거래소를 통해 검증된 가상자산부터 소액으로 알아보며 시장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 가상자산거래소 코인원 바로가기 ❯암호화폐 투자 위험 피하기
자주 묻는 질문 ❓
본문에 언급된 모든 내용은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며, 특정 자산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암호화폐(가상자산)는 매우 높은 변동성을 가진 고위험 자산으로, 원금 손실의 위험이 매우 큽니다. 모든 투자의 최종 결정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쉽고 편하게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유혹은, 당신의 소중한 자산을 노리는 덫일 뿐입니다.
다음 8편에서는 “가상화폐 수익 관련 세금”에 대해 알아보며 시리즈를 마무리하겠습니다.